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거진읍 거진리 산 29-1 번지
종류 | 건립일자 | 건립기관 | 부지면적 | 주요시설 | 관리기관 |
---|---|---|---|---|---|
탑 | 1970. 5.10 (1998. 10월 보수) |
고성군 (해군 제1함대) |
796㎡ | 탑신(화강석 붙임) : H=6m 기단석(오석) : H=2.75m |
해군1함대사령부 (033-682-2977) |
함명 | 당포함(함장 : 김승배 중령) | 함번 | PCE - 56 |
---|---|---|---|
함급 | PCE-842급 (중소형 경비정) | 배수량 | 표준 650톤, 만재 903톤 |
속력 | 15.7노트 | 크기 | L=56.08m, B=10.08m, H=2.87m |
승조원 | 79명 | 무장현황 | 76mm 함포 1문, 40mm 2연장 함포 3문, 20mm 함포 4문 등 |
진수일 | 1943년 6월(미 해군) | 취역일 | 1961년 12월(대한민국 해군) |
최후일 | 1967년 1월 19일 14시 34분경 침몰 / 39명 사망, 30명 부상 (침몰지점 : 북위 38도 39분 45초, 동경 128도 26분 45초 해상)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흘리 32-28
종류 | 건립일자 | 건립기관 | 부지면적 | 주요시설 | 관리기관 |
---|---|---|---|---|---|
비석 | 1957. 7.15 (1989. 8월 이전) |
육군 제3군단 | 115㎡ | 비(화강석) : H=2m 기단석(화강석 붙임) : H=2.3m |
육군 제1862부대 (033-460-6515)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광산1리 213-15
종류 | 건립일자 | 건립기관 | 부지면적 | 주요시설 | 관리기관 |
---|---|---|---|---|---|
비석 | 1959.11.30 | 국방부 | 33㎡ | 비(화강석) : H=1.5m 기단석(화강석 붙임) : H=1.7m |
육군 제5861부대 (033-639-6398)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상리 196
종류 | 건립일자 | 건립기관 | 부지면적 | 주요시설 | 관리기관 |
---|---|---|---|---|---|
비석 및 탑 | 1973. 9.29 (1984. 5.25 보수) |
고성군 | 495㎡ | 탑신(시멘트) : H=10m | 고성군 (033-680-3311) |
6.25전쟁 당시 조국과 지역의 평화를 위해 목숨을 바친 김수리, 김영기 외 63위를 포함하여 1,274위의 고성출신 호국영령들 넋을 추모하고 그들이 남긴 업적을 후세에 길이 전하고자 73년도에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건립함.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거진읍 대대리 510-8
종류 | 건립일자 | 건립기관 | 부지면적 | 주요시설 | 관리기관 |
---|---|---|---|---|---|
비석 및 동상 | 1956. 9.30 (1988. 8. 15 이전) |
고성군 | 330㎡ | 청동상(청동주물) : H=3.2m 탑(화강석 붙임) : H=6.4m 기단석 1(화강석) : H=1.75m 기단석 2(화강석) : H=1.7m |
고성군 (033-680-3311)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거진읍 대대리 510-8
종류 | 건립일자 | 건립기관 | 부지면적 | 주요시설 | 관리기관 |
---|---|---|---|---|---|
탑(동상) 및 비석 | 탑(동상) - 2004.11. 5 비석 - 2006. 6.20 |
베트남참전 유공전우회 고성군지회 |
1,650㎡ | 탑(동상) : H=3m / 기단석 0.3m 비석 : H=2.2m / 기단석 1m |
고성군 (033-680-3311) |
고성군 출신으로 자유수호를 위해 베트남전쟁에 참전한 참전유공자들의 빛나는 공훈과 희생정신을 후세에 널리 알리고 애국충절의 굳은 기상을 기리고자 건립함.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금강산로 481 / 통일전망대내
종류 | 건립일자 | 건립기관 | 부지면적 | 주요시설 | 관리기관 |
---|---|---|---|---|---|
탑 | 2003. 5. 1. | 고성군 | 250㎡ | 비 : H=4m 기단석 : H=0.3m |
육군 제5861부대 (033-639-6310) |
국의 자유수호를 위해 6.25전쟁에 참전하여 고성지역 전투에서 혁혁한 전공을 세우고 장렬히 산화한 전몰호국영령을 추모하고 애국충절의 굳은 기상을 후세에 전하고자 건립함.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거진읍 대대리 510-8
종류 | 건립일자 | 건립기관 | 부지면적 | 주요시설 | 관리기관 |
---|---|---|---|---|---|
비석 | 2005. 6. 3 | (사단법인) 대한민국 6.25 참전 유공자회 |
95㎡ | 비 : H=1.5m 기단석 : H=1m |
고성군 (033-680-3311) |
6.25 전쟁시 조국의 자유와 국토를 수호하기 위해 참전한 고성지역 참전유공자 92명의 나라사랑 정신을 기리고, 후대에 길이 계승하고자 건립함.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금강산로 481 / 통일전망대
종류 | 건립일자 | 건립기관 | 부지면적 | 주요시설 | 관리기관 |
---|---|---|---|---|---|
비석 | 1957. 7. 15 (1988. 12. 26 이전) |
제3군단 (고성군) |
33㎡ | 비(화강석) : H=2m 기단석(화강석 붙임) : H=2.3m |
육군 제5861부대 (033-649-2025)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금강산로 481 / 통일전망대내
종류 | 건립일자 | 건립기관 | 부지면적 | 주요시설 | 관리기관 |
---|---|---|---|---|---|
비석 | 2001. 7. 18 | 공군 (국방부) |
120㎡ | 비 : H=1.5m 비 : H=1.5m 기단석 : H=1.5m |
공군 제3155부대 (033-649-2025) |
공군본부는 2001년 7월 강원 고성군 현내면 마차진리 188 통일전망대 내에 공군 351고지 전투지원작전 기념비를 건립하여 351고지전투 승전과 공지합동작전에 참여한 전투 조종사의 전공을 기념하였다.
351고지전투는 동부전선에서 육군 제1군단이 1952년 7월 10일부터 휴전 직전인 7월 18일까지 격전을 치른 전투로 공군에서는 F-51 전폭기가 300회 출격하여 긴밀한 공지합동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이 전투를 유리하게 이끄는데 공헌하였다. 351고지 전투지원작전은 승호리철교 폭파작전, 평양 대폭격 작전과 함께 6.25 전쟁사에서 우리 공군의 3대 전공으로 손꼽힌다.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금강산로 481 / 통일안보공원내
종류 | 건립일자 | 건립기관 | 부지면적 | 주요시설 | 관리기관 |
---|---|---|---|---|---|
비석 및 동상 | 1986. 10. 15 | 강원도 | 502㎡ | 비 : H=6m 기단석 : H=0.3m |
고성군 (033-680-3311) |
한국전쟁 직전인 1949년 2월 강원지역 청년들과 서북청년단원이 주축이 된 민간인 316명이 유격대를 조직 “호림”이라 이름하고 유격활동을 전개하였음. 특히, 군사물자 수송 저지를 목표로 1949년 6월 하순 북파공작을 감행하여 그해 7월 머리카락을 담배갑 은종이에 싸서 묻고 생무덤을 만들며 “누구든지 한 명이라도 살아 남으면 동지들의 유해를 거두어 장례를 치루어 주기”로 혈맹하였으나, 작전도중 적에게 발각되어 210명이 전사하고 겨우 42명이 생환하였음. 또한 이들은 북괴 무장 게릴라의 남침을 분쇄, 저지하기 위하여 유격활동을 전개하는 등 한반도 격동기 호국의 신으로 조국을 지키다 산화해 갔음. 이러한 애국청년들의 위훈을 널리 선양하고 후세에 전하고자 1986년 전적비를 건립함.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운봉리 291-3
종류 | 건립일자 | 건립기관 | 부지면적 | 주요시설 | 추모대상 | 관리기관 |
---|---|---|---|---|---|---|
비석 | 2007. 6. 30 (최초) |
숭모비건립 추진위원회 (운봉리마을회) |
160㎡ | 비 : H=2.5m 기단석 : H=0.8m |
마을(운봉리)출신 애국지사 3인 추모 이근옥, 김연수, 문명섭 추모 |
고성군 (033-680-3311) |
2009. 9. 11 (확장) |
고성군 | 1,001㎡ | 비 : H=4.7m | 고성출신 애국지사 2인 추가하여 5인 추모 김형석, 이석규 추가 추모 |
일제강점기 구국충정을 발휘하여 조국의 자주독립을 위해 살신성인한 지역출신 애국지사(대한독립애국단 강원도단의 고성출신 독립운동가 5인)의 숭고한 뜻을 기리고 후세에 정신문화 유산으로 남기고자 숭모비를 건립함.